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여러가지 이야기26

통밀로 만든 간식이라니 괜찮겠지? | 통밀빵 이야기 오랜만에 음식 이야기입니다.오늘은 통밀빵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통밀가루 통밀가루,말 그대로 통밀을 빻아만든 가루입니다. 밀기울과 배유가 살아있는 가루로껍질(밀기울)과 씨눈을 완전히 제거한밀가루에 비해영양소가 많아건강에 좀 더 좋은 가루입니다. 말만 들으면 참 좋은 재료인데,맛도 그렇고활용도 그렇고좀 어려운 면이 있어서주 재료는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많은 시도가 있었고최근에는 통밀가루만 쓰인 간식빵도 많아지는 추세입니다. 아주 좋은 현상이지만,뒷면을 보면,이게 건강식인가? 싶은의구심이 들때가 많습니다. 통밀가루를 쓰는 빵들,시판되는 통밀 빵들은진짜로좋을까요? 통밀가루 함량 통밀가루는 주로 식사빵에 쓰입니다.   베이커리에 가면건강빵 종류로 분류되어있으며,흰색띄는 밀가루 빵과는 달리,옅은 갈색빛.. 2024. 6. 27.
제로 음료가 0kcal가 아니다? | 영양성분 표기 이야기 이전글 영양성분을 볼때 어떤걸 봐야하는걸까? | 영양성분과 일일권장섭취량오늘은 영양성분에 대한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영양성분 표시란?현대에 들어 다양한 식품이 쏟아져내리고 있습니다.손가락만 까닥하면 전세계적인 음식을 맛볼 수 있으니,앉아서도 세계여행을eatell.tistory.com 지난번에 영양성분과 일일권장량에 대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글 마무리로 30g당 표기 제품을 주의하자는 말로 끝냈는데, 이것에 대해 좀 더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1회 제공량영양성분을 표기하는데, 기준이 되는 단위는 100g과 100ml입니다. 그런데 간혹, 1회제공량이라 하여 적은 수치로만 표기되어있는 제품들이 있습니다. 얼핏보면 착각만 불러일으키는 이 수치는 왜 적혀있는걸까요? 이 수치는 아이들을 기준으로 합니다. 정확하게는.. 2024. 5. 30.
이거 자연치즈 아니었어? | 치즈 유형 이야기 오늘은 치즈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치즈의 유형세계 각지 치즈만 무려 1600여종입니다.모짜렐라, 체다, 부라타, 고르곤졸라, 에멘탈 등등오늘은 이 많은 치즈를 알아보는 시간!! 이었으면 좋겠지만, 오늘은실생활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치즈의 유형인자연치즈와 가공치즈에 대해서 정리할까 합니다. 자연과 가공, 이름부터 극명한 차이가 있지만서도그런 이름으로는 이제 더이상치즈를 구분하기가 힘듭니다. 이유가 뭘까요? 치즈의 기준 각 나라에는 치즈에 대한 기준이 있습니다.본 고장은 유럽부터,치즈하면 떠오르는 미국 등등국제적인 표준 기준이 있는 가운데,우리나라에도 독자적인 기준이 있었습니다. 바로 자연치즈입니다. 우리나라치즈에는식품유형에 자연치즈라고 쓸 수 있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때문에 뒷면에 유형만 보면진짜치즈인지.. 2024. 5. 28.
영양성분을 볼때 어떤걸 봐야하는걸까? | 영양성분과 일일권장섭취량 오늘은 영양성분에 대한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영양성분 표시란?현대에 들어 다양한 식품이 쏟아져내리고 있습니다.손가락만 까닥하면 전세계적인 음식을 맛볼 수 있으니,앉아서도 세계여행을 한다는 것이 과언이 아닙니다. 이렇게 다양한 먹거리가 쏟아지니좋기도 하지만한편으로는 걱정도 됩니다. 이 모든 먹거리가 정말 안전할까 싶은 생각 때문입니다. 맛있는 것은 0kcal 맛있게 먹으면 0kcal라는 말은 참 유명합니다.먹지 않고 스트레스 받거나이것저것 따져가며 먹는 것보다내 기분이 좋으면그것은 0kcal나 다름없다는 것인데,실상은 그렇지 않다는 걸 다들 아실겁니다. 참 신기합니다.식품은 이상하게열량이 높을수록 맛있습니다. 또왜인지는 모르겠는데,자연상태로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입에는 화학식이 딱입니다.어떻게 그런 식품만 .. 2024. 5. 23.
이것을 왜 생크림이라고 부르는걸까? | 생크림 이야기 오늘은 생크림에 대한 이야기를 할까합니다.생크림이란? 생크림은 우유에서 추출한 유지방입니다. 유지방 함량 100%,순수 우유 크림, 이것을 생크림이라고 생각하시겠지만,실상과는 조금 거리가 있습니다. 우리가 접하는 생크림은100%가 아닌 다른 것이라고 하는데, 도대체무엇을 생크림이라 부르는 걸까요? 생크림이라 부르는 것 우리나라에 식품업계에서 생크림이라고 하면유지방 18%이상을 함유한 크림을 말합니다. 18% 너무 적은 것 아닌가 싶겠지만,현실이 그렇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유지방 100% 함량의 크림은생크림이 아닌유크림이라고 부르고 있으며,이 또한 생크림과 혼용으로 쓰이기 때문에알아보기는 쉽지 않습니다. 때문에크림을 접했을 때는원재료명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이를 알기 위해 두 가지 빵을 가져왔습니다.. 2024. 5. 21.
왜 원재료명을 읽어봐야 할까? | 유화제 이야기 오늘은 유화제에 대한 이야기를 할까합니다. 유화제란? 유화제는 섞일 수 없는 두 액체를 섞이게 해주는 재료입니다. 섞이지 않는 두 액체는 무엇일까요? 다양한 것이 있겠지만,가장 쉽게 표현 할 수 있는 것은역시 물과 기름입니다.절대 섞이지 않는 두 액체에유화제를 첨가하면거짓말처럼 섞이게 됩니다. 이러한 역할로 인해유화제는 우리의 일상생활곳곳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식품, 화장품, 세정제 등유화제는 정말 다양한 곳에서 쓰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좀 찝찝합니다.세정제나 화장품에 쓰이는 이 제품을먹어도 되는걸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유화제의 여러가지 이름 음식의 유통기한을 늘려주고보기 좋게 만들어주고참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는 유화제입니다. 이러한 유화제는'유화제'라고 쓰여있는 제품도 있지만,여러가지 이름으.. 2024. 5. 16.
728x90
반응형